본문 바로가기
환경

친환경 플라스틱의 의미와 종류

by inmythirties 2023. 2. 15.
반응형

1. 탄소중립을 위한 소재 친환경 플라스틱

2월 6일 CNN은 2021년 호주의 비영리 민간단체 민더루 재단이 내놓은플라스틱 폐기물 생산자 지수보고서를 인용하여 2021 세계에서 1억 3900만 톤의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해당 수치는 2019년 대비하여 600만 톤 증가한 수치입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 중 상당양은 매립되거나 바다에 버려져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제조과정에서 상당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도 오염되어 있거나 제대로 분리배출이 되지 않아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 또한 낮은 상황입니다. 국내 환경부에서는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해 친환경 플라스틱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도 친환경 플라스틱을 활용한 제품을 늘리고 있습니다. 친환경 플라스틱은 무엇일까요?

2. 친환경 플라스틱의 종류

친환경 플라스틱은 크게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의 가지 종류로 나눌 있습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은 특정 조건에서 다른 유기 생물체에 의해 분해될 있는 플라스틱입니다. 유기 생물체에 의해 분해가 가능해야 하므로 옥수수전분이나 팜유 등 천연재료로 제조합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기존 플라스틱 제품보다 제조공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70~80%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바이오메스 플라스틱(Biomass plastic)은 식물에서 기인한 원재료(Biomass)로 만들어지는 플라스틱을 뜻합니다. 바이오메스 플라스틱은 생분해성 플라스틱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식물을 원료로 한 플라스틱에는 세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원료조달의 지속성이 뛰어나고, 식물을 원료로 했지만 구조가 일반 플라스틱과 같은 경우에는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경우 소각하여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더라도 온실가스 배출의 영향이 덜하다는 것입니다. 식물을 원료로 한 재질의 소각 시 발생하는 탄소는 원래 식물을 구성하던 탄소이므로, 온실가스를 실질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아닌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를 바이오메스의 탄소중립성이라고 합니다. 친환경 플라스틱이라고 이름이 붙여졌지만, 모든 용도에 만능으로 쓰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습니다. 즉 기존 플라스틱 제품과 함께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때문에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그물, 농업용 비닐 등 생태계에 투기가 일어나는 곳에 사용되어야 합니다. 특히 매립장에서는 생분해 효과가 일어나더라도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환경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바이오메스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제품에 사용되는 것이 적절합니다. 바이오메스의 탄소중립성에 따라 소각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양이 적게 감안되기 때문입니다. 다만 식물을 원료로 하는 플라스틱의 경우 플라스틱 생산을 위해 필요한 농지 확보 문제나 인간의 식량과의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3.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동향

2019 기준 국내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은 약 4만 톤 규모로 국내 플라스틱 시장의 0.5% 차지하며, 세계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의 1~2% 내외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친환경 플라스틱은 발효원료 확보, 화합물 생산, 친환경 플라스틱 제조, 소비재 가공의 value chain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산업동향은 발효원료 확보와 화합물 생산 부분에서 대부분 해외에 의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친환경 플라스틱의 국산화를 위해 연구개발 및 상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산업 생태계 구축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한 만큼 정부에서도 정책을 통해 산업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추후 국내 친환경 플라스틱 시장의 규모 역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관련 기업 간의 적극적인 연대협력이 매우 중요해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