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육식의 탄소배출 영향에 대한 논쟁

by inmythirties 2023. 2. 25.
반응형

1. 축산업과 탄소배출

IPCC 보고서로 인해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게 되고, 세계 각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만큼 각 산업분야의 탄소배출량은 민감한 문제가 되었습니다. 축산업계 역시 탄소배출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2006년 유엔 식량농업기구에서는 축산업이 모든 운송업보다 더 많은 양의 탄소배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그 양은 전체 탄소배출양의 18% 정도임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2010년 이후 더욱 힘을 얻게 되었고, 축산업은 탄소배출의 주범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축산업 중 하나의 예로서 소가 발생시키는 온실가스의 양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소 한 마리는 하루에 200리터 정도의 메탄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이산화탄소로 치환하면 약 4000리터 정도입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축이 발생시키는 메탄을 연간 3백만 톤 정도로 추정됩니다. 소에서 발생하는 메탄이 국가 전체 배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에스토니아에서는 소를 키우는 축산업농가에 소의 방귀세를 걷고 있습니다. 채식주의단체에서는 소뿐만 아니라 전체 축산업에 사용되는 사료를 기르기 위한 작물재배의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전 세계 인구가 채식을 한다면 식량에 대한 탄소배출 양을 지금에 비해 약 70%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고, 약 10억 헥타르의 땅을 아낄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2. 축산업계의 반론

축산업계에서는 이에 반론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운송 및 다른 산업에서의 탄소배출양 계산과는 달리 축산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은 축산업과 관련된 모든 범위에서의 배출양을 합한 것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아 보인다는 것입니다. 2022년 환경부가 공인된 방법으로 조사 후 발표한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르면, 축산업은 국가 전체 탄소배출양의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즉 직접배출 효과만 고려한다면 축산업종을 탄소배출의 주범으로 인식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2014년 유엔 식량농업기구에서 발표한 내용에는 각 산업의 직접탄소배출양만 비교 시 축산분야에서 공급망을 포함한 전체 범위에서 온실가스 배출양이 14% 정도인데 반하여 장 내발효나 가축분뇨처리와 같은 직접배출은 절반정도 수준인 7%로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주장에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의 과도한 육식 선호나 그로 인한 음식물쓰레기 문제 등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3.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

축산업계 역시 탄소배출양 저감에 대한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축산분야의 탄소배출양을 2050년까지 2018년 대비 56% 만큼 감축하겠다는 것입니다. 세부적인 추진 전략은 네 가지로 사육과정에서 불필요한 투입요소를 최소화하는 저탄소 사양관리, 정화처리·바이오차·에너지화 이용 확대 등 가축분뇨 적정처리, 축산악취개선, 축산환경개선입니다. 핵심 방안은 저탄소 사양관리와 가축분뇨 적정처리로 생각됩니다. 각각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저탄소 사양관리

저 메탄 및 저단백 사료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사육기간을 최적화하여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12백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저 메탄 사료를 개발 및 생산하는 업체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 또한 고려하고 있습니다.

2) 가축분뇨 처리

가축분뇨 정화처리 비중을 2030년까지 25% 수준으로 확대하고, 양돈농가의 정화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한편, 기존 퇴비나 액비로 처리하던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에 매년 5개 이상의 정화시설을 늘려 약 90% 이상이 정화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더하여 가축분뇨를 활용한 신에너지 생산비율을 2030년까지 15% 수준으로 증가시키겠다는 것이 주요 내용입니다.

전문가들은 위와 같은 정책과 함께 정확한 감축량 계량과 보상을 매우 중요한 요소로 꼽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노력에 대한 합당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반응형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 웨이스트의 정의와 가능성  (0) 2023.02.27
탄소세와 탄소누출  (0) 2023.02.26
재생에너지의 정의와 종류  (0) 2023.02.16
탄소중립을 위한 RE100  (0) 2023.02.16
친환경 플라스틱의 의미와 종류  (0) 2023.02.15

댓글